JTBC뉴스
[인터뷰] 곧 위기 온다? 지금 반드시 알아야 할 경제 상황 핵심
tv.naver.com
환율이 이번 주에 1400원을 찍었는데 외화당국이 구두 개입해 다행히 조금 내려왔습니다.
환율이 오르니까 국내 주식 시장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4월 18일 목요일에 코스피는 2634, 코스닥은 855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 환율 급등의 이유는?
미국의 기준 금리는 5%이고, 우리나라의 기준 금리는 3.5%로 2%나 차이가 납니다. 이건 사실 투자자 입장에서는 미국이 굉장히 매력적으로 보이게 합니다. 미국 국채만 사도 안정적으로 5% 수익률을 거둘 수 있는 건 너무 괜찮은 투자처인 것이죠. 그래서 미국이라는 나라의 통화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달러가 다른 통화 대비 강한 것입니다.
또한, 미국 기준 금리 인하가 빨리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는데 3월에 인플레이션이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가 나왔습니다. 그러면서 파월이 금리 인하는 더 두고봐야 한다는 식으로 발언을 했습니다.
설상가상으로, 이란이 이스라엘을 공격하면서 지정학적 이슈가 터졌습니다. 시장의 고민이 많아지고 불안해지면 달러가 강해집니다.
👄 외환 당국이 '구두 개입'했다고 하는데 '구두 개입'이 뭐죠...?
환율이 급격하게 변하면, 국민들이 당황해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유학을 보낸 부모님들, 원자재를 외국에서 수입하는 사장님 등이 타격을 크게 받습니다. 그런데 이런 분들만 타격을 받는 게 아니라 우리나라의 물가가 전반적으로 오를 수도 있습니다. 중동에서 전쟁이 터져 원유 가격이 오르고 있는 추세인데 환율까지 오르니 더 문제가 되는 것이죠. 한국은행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기준 금리를 3.5%까지 올렸는데 환율이 오르면 소비자 물가가 올라가게 상황이 펼쳐집니다. 따라서 환율을 안정시키는 것은 국가 차원에서 중요한 문제입니다.
그래서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이 외환 시장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간접적으로 개입했습니다.
직접 개입
직접적으로 개입한다는 것은 환율을 아예 직접적으로 끌어내리는 것입니다. 중앙은행이 5개의 시중 은행한테 "외화 팔고 원화를 사!"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환율이 내려가게 되겠죠.
간접 개입 (구두 개입)
이창용 총재가 "가만히 있지 않겠다!"라고 발언해서 사람들의 심리를 안정시키는 것입니다.
💵 강달러 기조 언제까지 이어질까?
해외 기관 투자자들은 지정학적 이슈를 제일 싫어합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리스크는 예측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환율을 예측하기는 어렵겠지만, 미즈호 은행의 변정규 전무님은 지금 상황으로 봤을 때는 1300원 대의 환율이 연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셨습니다.
강달러가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환율은 외국인들이 국내 주식시장에 투자할지 말지 결정을 내리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외국인들이 코스피를 투자할 때 달러를 원화로 바꿔서 코스피를 매수해야 하는데요. 원 달러 환율이 상승하면 환차손이 발생할 수도 있으니 외국인들은 국내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걸 꺼리고, 들고 있던 주식들도 팔기 시작합니다.
😮 환차손이 발생한다고요? 상황을 가정해서 쉽게 이해해봐요!
달러 강세 시기에 외국인들이 자금 회수를 할 때 환차손이 발생하기 때문에 원화 자산 투자가 위축되는 것인데요. 실제로 금융연구원의 연구에 따르면 원 달러 환율 상승률이 15%를 초과할 경우, 외국인 자본 유입 규모가 평균 360억~420억 달러 감소했다고 합니다. 한 번 사례를 가지고 보면, 이해하기가 더 쉬울 것 같습니다.
현재 환율이 1,200원/1$라고 해봅시다. 그리고 삼성전자 주식이 현재 1만원이라고 가정했을 때 10주를 사려고 합니다. 그러면 10만원이 필요하겠죠. 저는 미쿡인이고 달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걸 원화로 바꿔야 합니다. 그래서 $83로 10만원을 교환했고 (100,000 / 1200 = $83), 삼성전자 주식을 10주를 샀습니다.
그런데 환율이 1400원이 됐습니다. 그리고 저는 급히 돈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그래서 삼성전자 주식을 팔고 달러로 바꾸려고 합니다. 삼성전자 주식은 하나도 오르지 않아서 그대로 10만원입니다. 그러면 삼성전자 주식을 판 10만원을 가지고, 다시 달러로 바꾸면 제 수중에는 $71이 남습니다 (100,000 / 1400 = $71).
외국인 입장에서 보면, 삼성전자 주식 가격은 그대로인데 원화를 달러로 바꾸니까 $83 → $71로 손해가 났습니다.
삼성전자 주식이 만약 올랐다면 어떻게 됐을까요? 삼성전자 주식이 50%가 올라서 1주 당 15,000원이 됐습니다. 그리고 환율은 1400원입니다. 삼성전자 주식을 팔면 $107를 가질 수 있습니다 (150,000 / 1400 = $107). 달러가 올랐지만, 삼성전자 주가가 더 크게 올라 $83 → $107 다행히 돈을 벌었습니다.
그런데 환율이 오르지 않고 그대로 1200원이었다면, $125로 더 많이 벌 수 있었겠죠.
그래서 달러가 강세일 때 외국인들은 이머징 국가에 잘 투자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더 가깝다고 생각하지만, 이머징 국가 ETF에 포함될 때도 있습니다). 그리고 닭이 먼저인지, 알이 먼저인지는 모르겠지만, 달러가 강하다는 건 일단 전반적으로 경제 상황이 안 좋다던가, 전쟁이 발발하거나 코로나처럼 위험 요소가 있을 때 안전 자산인 달러가 강해지게 됩니다.
🔥 결론
가장 중요한 결론은 달러를 내 포트폴리오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겁니다. 포트폴리오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건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을 편입시켜야 수익률을 유지하면서도 리스크를 낮출 수 있는데요. 국내 주식시장에 투자한다면, 달러를 자산군에 포함시키는 건 포트폴리오의 안정성 측면에서도 좋습니다!
지금은 전쟁 이슈로 인해 더 과도하게 달러가 올라간 것 같지만, 1300원 대 초반으로 돌아온거나 (돌아오겠죠?) 아니면 지금이라도 조금씩이라도 차곡차곡 달러를 모아야 할 것 같습니다!
리스크가 없었던 적은 없었지만, 달러가 이렇게 급격하게 오르니 당황스럽긴 하네요.
상황을 잘 지켜보면서 자산 관리를 해야할 것 같습니다.
오늘 하루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32.gif)
'강해지기 위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투자할 때 내는 세금 총 정리 (0) | 2024.05.04 |
---|---|
네이버스마트 스토어 작심7일 도전기 (3) | 2024.04.28 |
KB증권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대행신고 (0) | 2024.04.27 |
대출용어 3형제 정리: LTV, DTI, DSR (0) | 2024.04.01 |
이 책은 돈 버는 법에 관한 이야기 (2) | 2023.12.11 |